원예의 즐거움28 씨앗 파종 시기 모종 키우는 방법 씨앗을 파종할 때는 파종 시기를 지켜 적기에 파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종 방법은 식물의 특성에 따라 산파, 조파, 점파 등으로 파종이 가능하고 직접 포트에 파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파종 후에 모종을 키우는 기간이 너무 길거나 반대로 짧으면 정식 후 활착이 더디고 뿌리내림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씨앗 파종 시기2. 씨앗 파종 방법3. 모종과 육묘4. 모종 관리 방법5. 모종 키우는 방법 1. 씨앗 파종 시기씨앗 파종 시기는 보통 춘파와 추파로 구분하지만 봄, 가을과 관계없이 작물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파종의 적기가 있습니다. 씨앗은 적기에 파종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생육이 불가능합니다. 노지재배 씨앗의 파종 시기는 기상 조건, 특히 기온과 지온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시설재배 시에는 온.. 2025. 1. 20. 채소의 토양 환경 채소의 생육에 적합한 최적의 토양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여러 가지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로 채소의 재배 기술적 측면에서 경운, 정지, 중경, 배토, 멀칭, 관수 및 시비가 토양 환경에 중요합니다. 목차1. 경운과 정지2. 중경 및 제초3. 멀칭4. 관수와 시비 1. 경운과 정지경운은 작물 재배에 적합하도록 작물을 재배하기 전에 굳은 땅을 갈아엎는 것입니다. 정지는 경운 후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작물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이랑을 만드는 것입니다. 채소재배는 집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작지는 심한 답압과 빈번한 관수로 물리적 성질이 나빠지기 쉽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경운을 잘해야 하는데 무엇보다도 땅을 깊이 가는 심경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년에 1회 이상은 석회, 기비 그리고 퇴비와.. 2025. 1. 16. 화훼 식물의 5가지 재배 방법 목차1. 순지르기와 곁순 지르기2. 물리적 자극과 광선3. 화훼 작물의 개화와 일장4. 차광 재배5. 전등 조명을 이용한 재배법 1. 순지르기와 곁순 지르기순지르기(적심)는 가지 끝의 생장점을 제거해 주는 것으로, 주지의 생장을 멈추게 함으로써 초장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국화, 카네이션 등의 절화 재배나 삽수 채취용 번식의 근원이 되는 식물 재배에서는 절화 본 수나 삽수의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한 번 적심한 후 곁가지가 몇 개 발생하는지를 보고 모든 곁가지를 적심하는 2회 적심이 있습니다. 그리고 왕성하게 자라 나오는 절반 정도의 곁가지만 적심하는 1회 반 적심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스프레이형 절화 재배에서는 가장 먼저 생긴 정단부의 꽃봉오리를 제거하여 측지에 생긴 봉오리들의 균형 .. 2025. 1. 16.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